리치위더스정보방/KB부동산 시세

KB부동산 시세(2017년 08월 04일자)를 올려드립니다

몬토 2017. 8. 14. 11:25





 



지난 6월 19일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발표된 부동산대책에도 불구하고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서울과 수도권 일부지역의 집값이 여전히 상승하자

급기야 8월 2일자로 추가적으로 발표된 부동산대책의 주요내용입니다.


핵심내용은 역시나 뜨겁게 달구어진 서울과 수도권, 부산과 세종시에 대해

투기세력에게는 엄정한 조치를 취하고 실수요위주로 시장을 재편해 나가면서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시키겠다는 고강도의 조치사항입니다.


워낙 강력한 조치인 탓에 벌써부터 아파트 매가상승이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정책발표 이후 발빠르게 강남구의 상가로 관심이 쏠리기 시작하고

투기과열지구나 투기지역에서 제외된 경기와 대전, 부산의 청약률은 여전히 높아져

오히려 '풍선효과'의 조짐마저 보이고 있습니다.

ngmspg_03-5



한 정권이 장기집권을 통해 긴 안목으로 실효성있는 정책을 추진하지 않는 한

주체할 수 없는 투자심리를 억제하기란 여전히 난제일 수 밖에 없지않나 생각됩니다.


현정부의 부동산에 대한 입장이 워낙 단호한 상황인만큼

이번 조치 이후에 또다시 추가적인 대책이 공표될 여지도 충분해 보입니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발표된 정책의 내용을 꼼꼼하게 살피고

본인의 투자상황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주위를 환기시킬 필요가 느껴집니다.


지난 한주간의 매가변동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시세자료의 기준일은 8.2 부동산대책 발표전인 7월 31일입니다.


KB부동산시세(20170804)                  (단위: 만원/)

NO

행정구역

시군구

매매가변동현황

전세가변동현황

728

84

변동액

728

84

변동액

1

세종

세종

300

303

3

138

138

0

2

제주

서귀포

303

303

0

175

175

0

3

제주

제주시

369

369

0

231

231

0

4

전북

전주

168

168

0

138

138

0

5

전남

여수

147

148

1

110

110

0

6

경북

경산

189

189

0

141

140

1

7

경북

구미

156

157

1

127

127

0

8

경북

김천

146

146

0

107

108

1

9

경북

영천

117

117

0

78

77

1

10

경북

칠곡

124

123

1

99

99

0

11

경남

거제

204

203

1

154

154

0

12

경남

진주

202

203

1

163

163

0

13

충북

음성

139

140

1

98

98

0

14

충북

청주

190

189

1

147

147

0

15

충남

보령

165

165

0

129

128

1

16

충남

예산

118

124

6

79

83

4

17

충남

태안

143

143

0

101

103

2

18

충남

홍성

159

159

0

115

116

1

19

강원

양양

122

121

1

76

76

0

20

울산

동구

239

238

1

169

169

0

21

광주

서구

206

207

1

162

162

0

22

대구

서구

225

226

1

162

162

0

23

대구

수성

323

325

2

244

245

1

24

대전

유성

241

242

1

188

188

0

25

부산

금정

301

302

1

224

224

0

26

부산

동구

260

261

1

189

189

0

27

부산

수영

387

388

1

212

213

1

28

부산

연제

320

321

1

226

227

1

29

부산

중구

178

179

1

126

128

2

30

부산

해운대

357

357

0

226

225

1

31

인천

계양

243

244

1

192

192

0

32

경기

과천

1062

1063

1

574

574

0

33

경기

김포

277

277

0

205

206

1

34

경기

동두천

160

160

0

126

127

1

35

경기

부천

316

317

1

255

255

0

36

경기

성남

526

528

2

396

396

0

37

경기

수원

310

311

1

251

252

1

38

경기

안양

395

397

2

320

321

1

39

경기

의정부

245

246

1

200

200

0

40

경기

파주

232

232

0

194

195

1

41

경기

포천

156

158

2

116

117

1

42

경기

하남

455

458

3

330

331

1

43

경기

화성

288

289

1

222

222

0

44

서울

강남

1237

1246

9

583

587

4

45

서울

강동

652

660

8

401

408

7

46

서울

강북

377

378

1

295

295

0

47

서울

강서

498

500

2

347

347

0

48

서울

관악

418

422

4

337

337

0

49

서울

광진

583

586

3

439

441

2

50

서울

구로

401

402

1

322

322

0

51

서울

금천

368

369

1

281

282

1

52

서울

노원

404

409

5

288

289

1

53

서울

도봉

352

355

3

265

265

0

54

서울

동대문

440

443

3

355

356

1

55

서울

동작

540

543

3

420

420

0

56

서울

마포

613

617

4

461

462

1

57

서울

서대문

476

477

1

376

378

2

58

서울

서초

1066

1072

6

605

605

0

59

서울

성동

625

628

3

467

467

0

60

서울

성북

424

425

1

351

351

0

61

서울

송파

819

830

11

500

502

2

62

서울

양천

645

646

1

415

416

1

63

서울

영등포

554

557

3

387

389

2

64

서울

용산

782

789

7

469

469

0

65

서울

은평

424

425

1

325

325

0

66

서울

종로

590

591

1

429

430

1

67

서울

중구

590

592

2

450

452

2

68

서울

중랑

360

361

1

293

294

1


매매가격 : 0.08% 상승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기록
-수도권도 전주대비 0.16% 상승

7월31일 기준으로 조사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8.2대책 발표를 앞두고
규제 강화를 우려하여 매수문의가 늘어나며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서울(0.37%)은 강북지역와 강남지역이 모두 전주대비 상승함.
수도권(0.16%)과 5개 광역시(0.03%)는 전주대비 상승함.
반면 기타지방(-0.04%)은 전주대비하락을 기록함.


전세가격 : 0.01% 상승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전주대비 상승 기록
-서울 전주대비 0.12% 상승
-기타지방은 전주대비 하락 기록

금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역에 따라 상승폭 차이를 보이며 10주연속 상승을 기록함.
서울(0.12%)은 강남지역과 강북지역 모두 전주대비 상승함.
수도권(0.06%)은 전주대비 상승을 나타낸 반면, 5개 광역시(-0.01%)와
기타지방(-0.05%)은 전주대비 하락을 나타냄.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1) 서울특별시
강북 (14개구)
-마포구(0.57%)는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임대 목적의 투자수요 문의도 꾸준하며,
 목동, 강남, 여의도 등으로 출퇴근이 용이하고 교통편이 편리한 입지로 선호도가 높음.
-도봉구(0.49%)는 수서발 KTX 노선 창동~의정부 연장, 동부간선도로지하화 등
 개발호재가 풍부하여 수요문의가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함.

강남 (11개구)
-관악구(0.67%)는 여의도, 강남권 출퇴근 및 경기권 출퇴근 근로 수요, 봉천동 재개발 이주 수요,
 전세에서 매매 전환하는 수요 등 소형 평형 수요 문의가 늘면서 가격 상승함.
-강동구(0.54%)는 상일동 고덕주공 6단지 6월 이주시작, 길동 신동아 올해 하반기 이주 예정 영향으로
 실수요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투자수요 문의도 활발함.


(2) 인천광역시
-연수구(0.20%)는 포스코건설,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이랜드 복합 쇼핑몰 건설 공사 진행 등
 여러 개발 호재 기대감으로 수요문의가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함.


(3) 경기도
-안양 동안구(0.29%)는 지역 내 재개발, 재건축 추진 영향으로 투자 수요 문의가 꾸준하고,
 서울, 과천 등에서 유입하는 출퇴근 직장인 수요와 전세매물 부족으로 매매 전환하는 실수요자 문의가 꾸준함.
-의왕(0.19%)은 초평 뉴스테이 사업지 선정, 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지역 내
 여러 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매매 문의가 꾸준히 늘고 있음.
-남양주(0.15%)는 인근 강동구 재건축 이주 수요 일부가 유입되고 있고, 교통환경이 개선되면서
 저렴한 매물을 찾아 서울에서 유입되는 수요가 꾸준한 편임.


(4) 울산광역시
-북구(-0.16%)는 조선업계 불황에 따른 현대중공업의 인원 감축으로 매매수요가 감소하며
 미분양 물량 증가로 매수 심리가 더욱 위축되는 분위기임.


(5) 부산광역시
-동구(0.20%)는 타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매매가 저렴하여 유입되는 수요와
 북항재개발 사업추진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격 상승함.
-북구(0.20%)는 저평가 되어 있는 중소형 평형 단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만덕동 뉴스테이 사업지 선정으로 주변환경 개선 기대감으로 가격 상승함.
-부산진구(0.13%)는 쇼핑, 의료시설, 학원가 등 생활편의시설 및 교육환경 발달로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편이고,

 당감동, 부암동 등 재개발 구역이 많아 이주민 수요 증가로 소형평형 아파트 거래가 꾸준히 상승함.


(6) 세종시
-세종(0.58%)은 행정수도 기능 강화 공약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물량 부족으로 매물 출회 즉시 거래되면서 전주에 이어 상승세 이어감.


(7) 충청도
-서산(-0.30%)은 여름 비수기로 매수 문의가 줄어들었고, 기존 주택보다는
 신규 분양 아파트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매매 거래가 한산함.
-청주 청원구(-0.26%)는 대규모 신규입주물량 영향으로 신규 분양되는 단지들의
 미분양 사례가 늘면서 거래시장 위축되는 모습을 보임.


(8) 경상도
-통영(-0.27%)은 조선, 해운업의 구조조정 여파로 실수요자 급감하며 매물이 쌓이고 가격 하락함.


[규모별 매매가격 동향]
-전국의 규모별 매매가격은 전 규모에서 전주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서울은 전 규모에서 전주대비 상승을 나타냄.
-5개 광역시는 전 규모에서 전주 대비 상승을 기록함.
-기타지방은 소형은 전주대비 보합을 기록한 반면, 그 외 규모에서는 전주대비 하락을 나타냄.


[지역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1) 서울특별시
강북(14개구)
-중랑구(0.30%)는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세가 저렴하여 저가 매물 찾아 유입되는
 수요가 꾸준하여 소형평형 매물이 귀함.
-광진구(0.20%)는 역세권 단지로 저가의 매물을 찾아 유입하는 신혼부부 수요가 꾸준하며
 강남으로의 출퇴근이 용이해 직장인 수요도 꾸준하여 매물 부족한 상황임.

강남(11개구)
-금천구(0.34%)는 가산디지털단지 및 구로디지털단지 인접으로 직장인 배후 수요층도 두텁고,
 신안산선착공 등으로 서울 시내 이동이 더욱 용이해지면서 저가의 매물 찾아 유입하는 수요 등으로 가격 상승함.
-양천구(0.30%)는 여름방학 이사 수요로 학군 선호지역인 목동 일대 소형평형 전세가 출회되는
 매물 즉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가격 상승함.


(2) 인천광역시
-계양구(0.12%)는 서울 강서권과 인접하고 있어 밀려오는 전세 수요의 유입이 계속되고,
 준전세나 월세로의 물건전환이 이루워지면서 물건 품귀현상으로 가격 상승함.


(3) 경기도
-성남 중원구(0.14%)는 수정구나 분당구보다 저렴한 가격에 전세가가 형성되어 있어
 유입수요가 꾸준하고 지역 내 재개발 이주중인 곳이 많아 가격 상승함.
-의왕(0.10%)은 과천, 평촌, 안양 등 경기지역과 강남, 사당 서울지역의로의 교통편이 좋아
 유입에 따른 매물부족현상으로 가격 상승함.
-파주(0.09%)는 서울 전세가가 높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파주로 수요가 유입하고 있고,
 파주 LCD산업단지, 파주출판단지 등 지역 내 직장인 수요층도 두터운 편임.


(4) 대전광역시
-대덕구(0.13%)는 부동산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로 전세 선호도가 더욱 높아져
 전세 매물 출회 즉시 거래되면서 가격 상승함.


(5) 부산광역시
-중구(0.11%)는 아파트가 많지 않은 지역이고, 신규입주 예정물량도 없어 수요에 비해
 매물이 부족한 편으로 매물출회 즉시 거래 이루어지면서 가격 상승함.
-해운대구(-0.15%)는 여름 비수기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중소형 평형대 매물이
 점차 적체되는 현상을 보이며 가격 하락함.
-기장군(-0.08%)은 하반기에 기장읍과 정관읍에 1500여 세대 입주 예정 물량 영향으로 가격 소폭 하락함.


(6) 충청도
-서산(-0.20%)은 상반기 대규모단지 입주 및 성연면 890여 세대 대단지 입주 예정 영향으로 가격 하락함.


(7) 경상도
-창원 의창구(-0.25%)는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으로 매물 적체되는 모습을 보이며 가격 하락함.
-통영(-0.22%)은 여름 비수기 및 조선, 해운업의 구조조정 여파로 실수요자 거래가 급감하여
 매물이 쌓이면서 가격 하락함.
-경산(-0.19%)은 전세 전환하여 매물을 내놓는 세대가 증가하면서 매물 적체 현상을 보이며 가격 하락함.


[규모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의 규모별 전세가격은 대형은 전주대비 하락을 기록한 반면, 그 외 규모에서는 전주대비 상승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서울은 대형은 전주대비 보합을 나타낸 반면, 그외 규모에서는 전주대비 상승을 기록함.
-5개 광역시는 중대형과 소형은 전주대비 보합을 기록한 반면, 그 외 규모에서는 하락을 나타냄.
-기타지방은 소형은 전주대비 보합을 기록한 반면, 그 외 규모에서는 전주 대비 하락으로 조사됨.


[매매거래 동향]
-일선 중개업소에서 느끼는 매매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전국의 매매거래지수는
 전주대비 동일 수준이며 24.9를 기록함.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인천에서 매매거래지수가 하락하며 전주대비 하락을 나타냄.
-5개 광역시는 대전과 울산을 제외한 그 외 지역에서 매매거래지수가 상승하며 금주 매매거래지수는 상승함.
-기타지방은 세종과 충북, 전북, 경북, 경남을 제외한 그 외 지역에서 매매거래지수가 하락하며 

 전주대비 소폭 하락함.
-금주 매매거래지수는 5개 광역시에서 상승하며 전주대비 동일한 수준을 보임.


[전세거래 동향]
-일선 중개업소에서 느끼는 전세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전세거래지수는 

 전주대비 상승하며 20.4를 기록함.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인천에서 하락하며 금주 전세거래지수는 전주대비 하락함.
-5개 광역시는 울산을 제외한 그 외 지역에서 전세거래지수가 상승하며 전주대비 전세거래가

 활발한 모습을 나타냄.
-기타지방은 강원과 충남, 전북, 전남, 제주를 제외한 그 외 지역에서 상승하며 전주대비 상승함.
-전세거래지수는 5개 광역시와 기타지방에서 전주 대비 상승하며

 상대적으로 활발한 모습을 나타냄.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발표 바로 전 7월 31일자의 매가여서인지
지난 주에 이어 금주에도 2주연속 서울의 25개 전지역 매가가 상승하는 잭팟이 터졌습니다.


아마 앞으로 몇년동안 서울 전지역에서 매가가 상승하는 잭팟을 구경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이번 정책발표 이후 그동안 침체되었던 지방에도

조금은 훈풍이 불지 않을까 조심스레 내다봅니다.


이번 대전 유성 추천물건을 마감하면서 저와 함께 진입하신 모든 회원님들께
다시 한번 축하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최근 유성구의 좋은 흐름이 금주 지표에서 상승으로 나타난만큼
이미 진입과 동시에 확보된 투자금 이상의 시세차익에다가 덤으로
앞으로의 유성구의 매가흐름을 저와 함께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ngmspg_03-4


모든 회원님들 무척이나 무더웠던 한주간 일상에서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또다시 찾아온 8월의 첫번째 주말을 통해서
재충전하시는 편안한 시간보내시기 바랍니다^^

 

-by몬토-


http://cafe.naver.com/monte0806/3289 <----원본 글은 이 주소로